사주팔자 십신: 비겁(비견, 겁재)
안녕하세요 쏭도비입니다!
오늘은 비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십신이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글 먼저 확인해주세요^^
2023.08.24 - [사주 팔자/십신(十神)] - 사주팔자 십신: 십신(十神)이란?
사주팔자 십신: 십신(十神)이란?
십신이 중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쏭도비입니다! 오늘부터는 사주의 꽃 십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천간과 지지에 대한 이해를 도와드렸는데요 내 사주 팔자 각각의 고유한 기운들
a-stronomy.tistory.com
제가 비겁에 대해 처음 배웠을 때
사주에 이것이 많으면 남의 말을 잘 듣지 않고
본인 의견만을 내세우는 고집쟁이라는
말을 가장 많이 들었습니다.
그렇다고 '비겁이 있으면 나쁘다',
'비겁은 나쁜 것이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시면
절대 안 됩니다.
사주팔자에는 좋고 나쁨이 없고
서로 기운을 보강하고 제어해주는
조화와 균형만이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비겁이 너무 많으면 고집쟁이가
될 수도 있지만, 비겁이 있으면
독립심을 가질 수 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비겁이 너무 없다면 자아에 대한
확신도 부족하겠죠
비겁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비견과 겁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비겁- 일간과 같은 오행
비겁은 비견과 겁재를 합쳐서 부르는 말입니다.
일간과 같은 오행이기 때문에
나와 협력하는 동료, 형제자매
그리고 나와 경쟁하는 라이벌로도 볼 수 있습니다.
즉, 아군 적군 할 것 없이
내 주변에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사주팔자에 비겁이 많다면 이러한 사람들이
주변에 많이 있고, 그들과의 관계에 깊게
얽혀있는 삶을 예상해볼 수 있겠죠
2) 비겁- 자아, 협력과 경쟁, 오만
위와 같이 나와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에
얽혀있는 삶이라면 아군들과는 협력하는 힘이,
적군들과는 경쟁하는 힘이 강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비겁이 지나치다보면
내 것을 악착같이 지키려는 특징때문에
인덕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사주팔자에서 일간이 다른 글자들과 맺는 관계에
일간과 같은 오행인 비겁도
관여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일간 옆 월간에 재성이 있고,
시간에 비겁이 있다면 일간과 시간의 비겁은
월간의 재성을 두고 경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팔자에 비겁이 강한 분들은
악착같은 마음, 내 것을 지키려는 마음에서 비롯된
투쟁심이 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독립심도 강해질 수 있습니다.
나만의 영역, 나만의 성을 만들어 놓고
이를 끊임없이 확장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독립심과 더불어 주체성과 자아가
강하다고 볼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나의 영역에 들어오지 않게
성벽을 너무 높게 쌓고 있진 않은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내가 맞다'라는 식의
자존심과 오만이 강해질 수 있으니
여유로운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때때로는 내 영역을 지키려고 하는 마음 때문에
손해를 볼 걸 알면서도
고집을 부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비겁이 가진 독립심과 경쟁력을 잘 발휘하면
사업에 대한 확장, SNS을 통한 인플루언서 활동,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습니다.
주체적으로 일을 주도하며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데 탁월하고,
비겁 특유의 미적감각이 있기 때문입니다.
비겁이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주변에
사람이 많다는 의미이기에
본인이 가진 특유의 강직함과 경쟁심은
긍정적인 곳에 쓰거나 직업적으로 승화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높은 기준을 두지 않게끔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3) 비겁- 재성을 극하는 기운
위 표를 보면 비겁이 재성을 극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원국에 비겁이 강한 사람은
재물을 잘 끌어모으지 못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위에 잠깐 언급했던 것처럼
본인이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자존심을 지키기 때문입니다.
특히 재물활동에 있어 동료와의 관계에서
불화가 생길 수도 있으니
사업이나 자영업을 하는 분들은
이 부분을 주의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4) 비견(比肩)
견줄 비+어깨 견
어깨를 견주다는 의미입니다.
나와 같은 오행에 같은 음양을 가지고 있기에
'나'와 같은 힘인거죠
예를 들어 일간이 '정화'인 경우
'정화'가 비견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나' 또는 '나'와 같은 힘이기에
독립심이 매우 강합니다.
내가 두 명, 세 명인 셈이니
칭찬을 받는 것, 주목을 받는 것도 매우 좋아하며
독립심에 따른 일을 추진하는 능력도 뛰어납니다
따라서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오만심이 강해지기도 합니다.
나를 지배하려고 하는 직장, 수직적인 분위기가
강한 조직에서는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을 수 있고
어느정도 자유를 보장하면서
본인 또한 남을 지배하지 않는 위치에서
일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견이 강한 사람은 남을 무시하는 경향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베풀기도 잘 하는데
이러한 베풂은 인정과 칭찬받고자하는 욕구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견은 주목받는 것을 매우 좋아하며
외관을 꾸미는 것도 좋아합니다
요즘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비견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비견의 힘을 오히려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인 인터넷 상에서
사람의 주목과 인기를 끄는 일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겁재(劫財)
겁재는 '재물을 빼앗다'라는 의미입니다.
일간과 오행은 같지만 음양은 다릅니다.
그래서 비견보다 조금 더 격렬한 힘입니다.
비견은 '나'에 중심이 있었다면
겁재는 나 뿐만 아니라 '남의 것'도 중심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견보다 더 강한 힘이고
개척적이며 일반적인 기준의 사고와 행동을
뛰어넘는 힘이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겁재가 강한 사람들은
경쟁심과 명예욕이 강하다고 봅니다.
사람들과의 경쟁에서 성장하며
남들은 도저히 달성하지 못할
목표와 성과를 내는 힘입니다.
과거에는 큰 개혁을 이룬 사람들에게
겁재가 있었다고 합니다.
주변사람 중에 겁재가 강한 분이 있다면
그 사람의 활동반경이 넓은지 좁은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활동성이 없는 곳에서는 겁재의 힘이
억눌려있기에 사주 주인공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겁재가 있는 분들은 재물을 관리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내 재물을 노리는 사람들과 항상 경쟁해야 하고
겁재 자체가 십신 중 '정재'(안정된 재물)을
특히 극하기 때문에
재물이 붙어있기 힘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십신 중 비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제 사주팔자에 비겁이 없기 때문에
운으로 비겁이 들어오는 해를 보고 있습니다
비겁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주체성과 자아가
강하다고 볼 수 있기에 현대 사회에서
좋은 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문헌
<나의 사주명리- 현묘>
<명리, 운명을 읽다 기초편- 강헌>
'사주 팔자 > 십신(十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에 이것이 꼭 필요한 이유는? 십신 인성 특징 (0) | 2023.09.04 |
---|---|
승진 잘 하는 사주가 따로 있다? 편관, 정관 특징 (2) | 2023.09.03 |
재물운이 많은 사주에는 이것이 있다? 정재, 편재 특징 (0) | 2023.08.30 |
유튜버, 연예인 사주에는 이것이 많다? 식신, 상관 특징 (2) | 2023.08.29 |
사주팔자 십신: 십신(十神)이란? (0) | 2023.08.24 |